- 저자
- 데일 카네기
- 출판
- 현대지성
- 출판일
- 2019.10.07
"사람들은 아무리 잘못을 저지르더라도 그 어떤 일에 대해서도 자신을 비판하지 않는다는 생각을 어렴풋이나마 떠올릴 수 있었다.
비난은 아무런 쓸모가 없다. 사람들을 방어적으로 만들고, 스스로를 정당화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비난은 위험하다. 사람들이 소중히 여기는 자부심에 상처를 입히고, 자존감을 훼손하며, 적개심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Page 29
맞습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잘못에 대해 비판을 받으면 방어적으로 변하고, 자신의 잘못을 정당화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도 초등학교 때의 기억이 떠오릅니다. 체육시간에 발야구를 하다가 제가 실수로 아웃이 되었을 때 친구들이 저를 비난하자, 저는 그 상황을 받아들이기보다는 화를 내며 상대를 비난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결국 그 순간부터 게임에 참여하지 않고 혼자 공놀이를 했죠.
그때는 몰랐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비난은 문제를 해결하기는커녕 오히려 방어 기제를 만들고, 상대와의 관계를 악화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비난을 받으면 자존심이 상하고, 결국 상대에 대한 적개심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어릴 때의 저는 오히려 자신의 실수를 감추고 상대를 비난하면서 상황을 넘기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저는 실수는 빠르게 인정하고 수습하려고 합니다. 상황이 악화되기 전에 차분히 생각하고, 어떻게든 문제를 해결하려는 쪽으로 방향을 잡습니다. 결국 실수를 감추는 것이 아니라, 인정하고 해결책을 찾는 태도가 더 현명하다는 걸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혹시 비난을 받아서 방어적으로 변하거나, 상대를 원망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다음에 비슷한 상황이 온다면 비난 대신 이해와 공감을 선택해 보면 어떨까요? 🙂
✍ 이 글은 Chat GPT의 도움을 받아 정리되었습니다.
'책 속 글귀 > 인간관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간관계론_미움을 없애는 방법 (46) | 2025.03.20 |
---|---|
👥 인간관계론_인간의 가장 깊은 욕망, 인정받고 싶은 마음 (30) | 2025.03.19 |
👥 인간관계론_기회를 만드는 태도 (35) | 2025.03.18 |
👥 인간관계론_행동의 이유 (19) | 2025.03.17 |
👥 인간관계론_비난대신 이해를 선택하기 (38) | 2025.03.15 |